728x90
반응형

투자 10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총정리-

https://moluuu.tistory.com/39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1)https://myrichlife.tistory.com/545 2일만에 10억 벌고 배운 단 하나의 투자 기술ㅣ잘 잃어야 잘 번다ㅣ부자회사원제가 장담컨데 오늘 영상에서 깨달음을 얻은 여러분들은 결국 주식으로 수익 내는 투자moluuu.tistory.com https://moluuu.tistory.com/40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2)https://moluuu.tistory.com/39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1)https://myrichlife.tistory.com/545 2일만에 10억 벌고 배운 단 하나의 투자 기술ㅣ잘 잃어야 잘 번다ㅣ부자회사원제가 장담컨데 오늘 영mol..

잡담 2024.09.19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4)

https://moluuu.tistory.com/39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1)https://myrichlife.tistory.com/545 2일만에 10억 벌고 배운 단 하나의 투자 기술ㅣ잘 잃어야 잘 번다ㅣ부자회사원제가 장담컨데 오늘 영상에서 깨달음을 얻은 여러분들은 결국 주식으로 수익 내는 투자moluuu.tistory.com https://moluuu.tistory.com/40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2)https://moluuu.tistory.com/39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1)https://myrichlife.tistory.com/545 2일만에 10억 벌고 배운 단 하나의 투자 기술ㅣ잘 잃어야 잘 번다ㅣ부자회사원제가 장담컨데 오늘 영mol..

잡담 2024.09.18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3)

https://moluuu.tistory.com/39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1)https://myrichlife.tistory.com/545 2일만에 10억 벌고 배운 단 하나의 투자 기술ㅣ잘 잃어야 잘 번다ㅣ부자회사원제가 장담컨데 오늘 영상에서 깨달음을 얻은 여러분들은 결국 주식으로 수익 내는 투자moluuu.tistory.com https://moluuu.tistory.com/40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2)https://moluuu.tistory.com/39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1)https://myrichlife.tistory.com/545 2일만에 10억 벌고 배운 단 하나의 투자 기술ㅣ잘 잃어야 잘 번다ㅣ부자회사원제가 장담컨데 오늘 영mol..

잡담 2024.09.15

9/14 - 9/? 매매 기록 & 복기 (진행중)

어제 비트가 57 - 58k 와리가리 하던 시절을 딛고 60.5k 까지 빠르게 도달 했다 호거걱 나는 60k에서 어느정도 저항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예상을 뒤엎고 그냥 60.5k 까지 빠르게 도달했다 그래서 현재는 단기 롱으로 관점을 바꾸었다 근거1. 롱 힘이 너무 좋음 추세는 관성을 유지함 만약 다시 단기 추세가 바뀐다면 나에게 신호를 줄 것(50 이평의 힘을 잃어 간다던지, 고점과 저점에서 와리가리를 한다던지)2. 60.5k까지 올라간 이상 적어도 한번은 62k (단기 홀더, 매물대, mvrv180)를 테스트 할 것 사실 이거 밖에 없다 결국 아직까지 큰 추세에선 하락 관점임은 변함이 없다 지금은 이렇게 작은 물결이 패기있게 올라가지만 다시 큰 흐름을 본다면 작은 물결은 꺾일 확률이 높음 그래서..

트레이딩 기록 2024.09.14

9/13 - 9/14 매매 복기 (약익절)

지금 너무 와리가리 치는 혼선 무빙이라 짧은 프레임에서 보면 머리가 아프다  그래서 크게 보면 아직 하락추세이고 (물론 더 크게 보면 상승 추세 근데 이건 어떻게 보면 결국 비트코인 자체에 대한 롱) 좀 더 작게 보면 상승 채널을 만드는 움직임일 수 있으나 저기서 다시 한번 더 저점 리테스트 가능 그러나 충분히 상승으로도 전환될 수 있는게 10월달에는 대선 + 비트가 잘 오른 달이라 기대감에 올릴 수 있음  근데 솔직히 그렇다고 해서 15분 봉의 이 그림을 상승으로 봐야 하는가? 에 대한 생각이 있음 고점의 고점?은 계속 낮춰지고 있고 물론 저점도 올리고는 있지만 급락의 느낌을 계속 줘서 한번 56k 까지 다시 리테스트 하지 않을까 싶다 타겟: 58.2k 숏 진입 1/20 *3 SL: 58.78k 근거1..

트레이딩 기록 2024.09.13

9/10 - 9/13 매매 기록 & 복기 (본절)

비트코인이 결국 단기 저항대인 58k를 한번 터치하면서 나의 숏을 다 터트리면서 가고 있다 일단 지금 위치에서 58k를 계속 두드릴 거라고 생각 특히 내일 소비자물가지수와 대선 토론이 있기에 횡보하는 움직임을 보여줄 확률이 높음 주봉 7ma에서 이번주 동안은 계속 저항을 받지 않을까 생각중 딱히 58k가 확실한 저항은 아니지만 지금 58k 부근을 계속 갔다가 저항 받는 모습을 보여줘서 일단 이 부근이 1차적 저항이라고 판단 됨  솔직히 왠만하면 9/11 전에는 2번 3번 패턴으로 갈 거 같은데 진짜 십스캠 무빙으로 4번이 나올 수는 있다고 생각 함물론 1번도 나올 수 있다 일단 나는 토론빔이나 물가지수 빔으로 58.2k 까지는 찍고 하락할 수 있다고 봄 매매 전 전략 58.2k 숏 오픈 1/20 *3 S..

트레이딩 기록 2024.09.11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2)

https://moluuu.tistory.com/39 톰 호가드의 가르침에 대해 곱씹어보자 (1)https://myrichlife.tistory.com/545 2일만에 10억 벌고 배운 단 하나의 투자 기술ㅣ잘 잃어야 잘 번다ㅣ부자회사원제가 장담컨데 오늘 영상에서 깨달음을 얻은 여러분들은 결국 주식으로 수익 내는 투자moluuu.tistory.com자 다시 한번 곱씹어 보자 2. 추세를 거스르지 말고 이기는 매매에 추가 투자를 해라 (불타기 해라) 저번에 톰 호가드의 가르침 중 손절을 자주 해란 말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사실 그때 쓰면서 내 전략에 불타기를 이미 적어놓았다   사실 불타기란건 굉장히 사람의 본성을 거스르는 행동인 거 같다 마치 애써 이뤄 놓은 성과를 욕심으로 인해 평단가를 올리는 미련한 ..

잡담 2024.09.07

맥켈란 오실레이터 이번엔 어떻게 됐을까?

https://moluuu.tistory.com/18 [펌] 맥켈란 오실레이터https://x.com/economakase/status/1800512883870363733 X의 이코노마카세님(@economakase)■ 맥켈란 오실레이터의 신호탄 추세를 보여주는 맥켈란 오실레이터는 희귀한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번에 두번째 나moluuu.tistory.com 저번에 잠깐 언급했던 그렇게 개쩌는 신호라던 맥켈란 오실레이터.. 이후 60일 동안 상승할 확률은 95% 그러나 5% 확률로 100주 이평 위에서 발생했을 경우 짧게 상승 후 큰 하락  지금은 100주 이평 위에서 발동함 과연 지금 60일 정도 지난 시점에서 어떻게 됐을까?  S&P500 기준 4% 상승후 5.3% 정도 하락 함 생각보다 변동성 없..

거시경제 2024.08.29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왜 리스크 관리만이 우상향의 지름길이라고 하셧을까?   이 두 짤이 우리가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해야하는 이유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사실 나도 어느정도 단순히 많이 빠지면? 오를 확률이 높다고 단순히 생각했는데 지금 오늘도 6% 정도 빠진것도 대응이 되니 마니 하는데 -80%? 이걸 어떻게 물타서 어떻게 빠져 나올 것인가? 또한 사람들은 차트를 볼 때는 그냥 주봉 월봉 슥슥 보지만 실제 체감하는 현실은 15분 1시간도 길다 그래서 물을 굉장히 빨리 타게 되고 그렇기 때문에 사실 -80%를 대응하기란 불가능하다고 봄 물론 그렇다고 해서 저 사이사이에 반등이 없었지는 않기 때문에 리스크관리나 순환매만 잘 해냈다면 어느 시점에선 탈출이 가능했을지도 모른다고 봄 근데 내가 하고 싶은 말은 나스닥도 최소 -8% ..

잡담 2024.08.28

경기침체의 본질을 곁들여본, 우리가 진짜 집중해야 하는 것에 대해

우리가 경기침체를 무서워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내가 생각하기에 이것의 정답은 사람들이 지갑을 닫기 때문인 거 같다. 즉 이것은 곧 유동성이 줄어든다는 의미. 여기에 사람들의 공포가 하락을 스노우볼링 해주고 이렇게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여기에는 주식으로 치자면 침체로 인한 기업 실적 부진 등등으로 그 기업 자체가 매력도가 떨어지는 것도 포함되겠지만 결국에 본질은 유동성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공포, 내 자산을 더 큰 바보가 사주지 않는다는 공포가 큰듯. 아 생각해보면 광범위하게 더 중요한 건 심리 인거 같다 이 시장에 대한, 이 자산에 대한, 이 종목에 대한 믿음, 기대감 오를거라는 환희 탐욕 욕망, 내릴 때의 공포, 분노, 절망 등등 사실 이유야 다양하겠지만 결국엔..

거시경제 2024.08.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