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거시경제 7

맥켈란 오실레이터 이번엔 어떻게 됐을까?

https://moluuu.tistory.com/18 [펌] 맥켈란 오실레이터https://x.com/economakase/status/1800512883870363733 X의 이코노마카세님(@economakase)■ 맥켈란 오실레이터의 신호탄 추세를 보여주는 맥켈란 오실레이터는 희귀한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번에 두번째 나moluuu.tistory.com 저번에 잠깐 언급했던 그렇게 개쩌는 신호라던 맥켈란 오실레이터.. 이후 60일 동안 상승할 확률은 95% 그러나 5% 확률로 100주 이평 위에서 발생했을 경우 짧게 상승 후 큰 하락  지금은 100주 이평 위에서 발동함 과연 지금 60일 정도 지난 시점에서 어떻게 됐을까?  S&P500 기준 4% 상승후 5.3% 정도 하락 함 생각보다 변동성 없..

거시경제 2024.08.29

경기침체의 본질을 곁들여본, 우리가 진짜 집중해야 하는 것에 대해

우리가 경기침체를 무서워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내가 생각하기에 이것의 정답은 사람들이 지갑을 닫기 때문인 거 같다. 즉 이것은 곧 유동성이 줄어든다는 의미. 여기에 사람들의 공포가 하락을 스노우볼링 해주고 이렇게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여기에는 주식으로 치자면 침체로 인한 기업 실적 부진 등등으로 그 기업 자체가 매력도가 떨어지는 것도 포함되겠지만 결국에 본질은 유동성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공포, 내 자산을 더 큰 바보가 사주지 않는다는 공포가 큰듯. 아 생각해보면 광범위하게 더 중요한 건 심리 인거 같다 이 시장에 대한, 이 자산에 대한, 이 종목에 대한 믿음, 기대감 오를거라는 환희 탐욕 욕망, 내릴 때의 공포, 분노, 절망 등등 사실 이유야 다양하겠지만 결국엔..

거시경제 2024.08.27

경기침체에 대한 생각 (1)

요즘 여기 저기서 경기침체가 오니 마니 하는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1302792O [인베스팅닷컴] 경제 연착륙은 가능할까, 신화에 불과할까?[인베스팅닷컴] 경제 연착륙은 가능할까, 신화에 불과할까?, 뉴스www.hankyung.com 이 글을 보면 총 3번의 연착륙이 있었다고 한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usa/nasdaq/contents/231213155117459ce [속보] 미국 경제 연착륙 성공 확률이 훨씬 커... 경기 침체 오지 않을 것: 그런데 왜?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점점 시장이 미국 경제의 연착륙과 경착륙에 대해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 실시간으로 느껴지는 날들입니다. 202..

거시경제 2024.08.26

테더로도 손해를 보는 사람이 있다?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현재 달러인덱스가 엄청나게 내려가면서 원달러 환율도 1330원까지 내려온 상태. 그래서 지난번에 1385원 정도에 매수했던 테더가 모두 손실중. 시발 하지만 사실 8월 초에 급락하면서 1440원대에서 풀매도 가능했는데 이때 귀찮고 바빠서 매도 안함. 그리고 솔직히 말하면 경기침체 위험 + 경기침체 아닐시 코인 불장 김프 믿고 행동 안한 것도 있음. 그러나..  1) usdkrw 차트를 월봉으로 봤을 때 1100 ~ 1240 사이가 보통 환율이고 그 이상은 고환율, 이하는 저환율임 2) 금리인하 시기 첫 시작은 대부분 환율 하락을 했음 3) 연착륙 가능성 오랫동안 고환율로 산 달러를 계속 갖고 있을 이유는 없었다 심지어 탈출해라고 한번 김프 급등까지 함..  환율 리포트 보면서 대응해야 할듯 대충 지금은 ..

거시경제 2024.08.24

영빈좌의 m2에 대한 좋은 글

http://www.economy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0432 미, 60년대 이후 첫 M2 감소…경기침체 신호탄인가? - 이코노미21[이코노미21 양영빈] 미국 통화량 지표 중에 가장 많이 인용되는 M2가 최근 감소하고 있다. 통화량 지표는 M1, M2, M3 이런 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M1은 보통 주화, 유통통화, 요구불 예금으로 구성된www.economy21.co.kr 사실 우리는 어떤 지표를 봐야하는가? 포스팅에 추가할 수도 있지만 귀찮기도 하고 포스팅 하나 더 추가하고 싶어서..하나 새로 쓴다 m2는 광의 통화라고 불리며 m1 보다 넓은 의미이다. m1은 보통 주화, 유통통화, 요구불 예금으로 구성되고 m2는 여기에 저축성 예금과 MMF를 더한 ..

거시경제 2024.06.04

우리는 어떤 지표를 봐야하는가? 2

1편 바로가기https://moluuu.tistory.com/8 우리는 어떤 지표를 봐야 하는가? 1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번 년도에 매크로에서 어떤 지표를 보면 좋을지 스스로 정리도 할겸 한번 이에 관해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cpi, pce, 실업수당청구건수 이런건 제외하겠습니다. 1. 달moluuu.tistory.com 안녕하세요. 어제쓰다가 힘들어서 그리고 포스팅 수를 늘리기 위해.. 그만 썼는데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2. Net Liquidity (순유동성) 실제로 Net Liquidity는 코로나 이후 증시와 높은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Net Liquidity = 시중 은행의 지급준비금 + 유통통화 * 지급준비금: 시민의 예금 중에서 일정 비중을 중앙은행에 예금하는 것 법적으로 의무화 되..

거시경제 2024.06.03

우리는 어떤 지표를 봐야 하는가?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번 년도에 매크로에서 어떤 지표를 보면 좋을지 스스로 정리도 할겸 한번 이에 관해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cpi, pce, 실업수당청구건수 이런건 제외하겠습니다. 1. 달러-엔 환율 / 달러-엔 스왑 규모우리의 흑형 아서헤이즈가 모니터링해라고 하는 지표다. 실제로 아서헤이즈는 고수다. 꽤 잘맞춘다. 이번에 솔라나도 그렇고 4월 약세 전망도 어느정도 맞췄다고 봄. + 풋옵션도 철회하긴 했지만 시기의 문제였을지도.   아서 헤이즈의 글을 나름대로 요약 해보면달러 강세, 엔 약세 -> 그러나 일본중앙은행(BOJ)은 금리를 올릴 수 없음 왜냐하면 그들이 일본 국채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고 금리 인상을 하면 국채 금리는 오를 것이기 때문에 손해를 많이 볼 것 (국채 가격은 하락하기 때문) ..

거시경제 2024.06.0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