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달러인덱스가 엄청나게 내려가면서 원달러 환율도 1330원까지 내려온 상태.
그래서 지난번에 1385원 정도에 매수했던 테더가 모두 손실중. 시발
하지만 사실 8월 초에 급락하면서 1440원대에서 풀매도 가능했는데 이때 귀찮고 바빠서 매도 안함.
그리고 솔직히 말하면 경기침체 위험 + 경기침체 아닐시 코인 불장 김프 믿고 행동 안한 것도 있음.
그러나..
1) usdkrw 차트를 월봉으로 봤을 때 1100 ~ 1240 사이가 보통 환율이고 그 이상은 고환율, 이하는 저환율임
2) 금리인하 시기 첫 시작은 대부분 환율 하락을 했음
3) 연착륙 가능성
오랫동안 고환율로 산 달러를 계속 갖고 있을 이유는 없었다 심지어 탈출해라고 한번 김프 급등까지 함..
환율 리포트 보면서 대응해야 할듯 대충 지금은 4q를 미리 땡겨 온 느낌
https://www.ksure.or.kr/rh-fx/bbs/i-506/detail.do
월간환율전망 | 환위험관리 지원센터
www.ksure.or.kr
또한 차트적으론 1310원 장기 추세선 터치 가능할듯
일단 어찌됐던 1350원 ~ 1290원 사이에서 테더를 매수해서 나쁠건 없는게
약달러 시나리오 - 해리스 당선(암호화폐 규제) and 연착륙
-> 1300원대 초반 ~ 1200원대 중후반에서 머물거라고 봄
강달러 시나리오 - 트럼프 당선 or 경착륙(경기침체 위기)
-> 트럼프 당선으로 강달러 + 코인 단기 불장으로 인한 김프 + 경기침체로 인한 강달러
-> 1300원대 중후반 ~ 1400원
강달러 시나리오가 약달러 시나리오 보다 더 확률이 높다고 봄 단순 and or 차이로도
+ 어찌됐던 달러는 변동성이 적음
트럼프 당선이 왜 강달러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4811
트럼프의 弱달러 유도?…"다른 공약과 모순, 물가 끌어올릴 것" | 중앙일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가운데,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약(弱)달러’ 방침에도 이목이 쏠린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달러 약세를 어떻게
www.joongang.co.kr
트럼프 정책이 강달러를 유도하기 때문.
그러나 트럼프나 러닝메이트 벤스가 약달러 옹호 발언을 했다고 약달러 대비해라는 기사도 있는데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71813254084612
"트럼프 대통령 되면 달러 약세에 대비하라" - 머니투데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에서 승리하면 미국 국채와 함께 달러가 약세를 나타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달러가 강세를 보였다는 이유로 이번
news.mt.co.kr
개인적으로 이미 트럼프 피격 후 지지율 상승 때 시장이 미래를 보여줬다고 생각함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4/07/16/DDGKXEP5BVEWTOTSEHIPFUP7IY/
시장은 이미 트럼프에 베팅...美 증시 뛰고, 달러·비트코인 강세
시장은 이미 트럼프에 베팅...美 증시 뛰고, 달러·비트코인 강세
www.chosun.com
그리고 만약 트럼프 당선이 장기적 강달러가 아니더라도 적어도 정책이 나오기 전까진, 그 전에 암호화폐 지지 선언 이후 불장 김프 때문에 충분히 베팅해 볼만하다고 봄
만약 싹 다 아니더라도 달러는 충분히 가지고 있을만 하다고 생각 그 전에 대응이 가능하기도 하고
https://brunch.co.kr/@wonseconomy/15
미국 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전망
성장, 실질금리, 경상수지, 유로 | 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물론, 환율은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경제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brunch.co.kr
그리고 원스님의 게시글을 보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게 펀더멘털, 실질금리, 경상수지, 유로화 (+ 엔화) 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는데
펀더멘탈 -> 미국 gdp 계속 성장중 (달러 강세)
실질 금리 -> 내려갈 확률 up (달러 약세)
경상수지 -> 몰?루
유로존 -> 피치는 24년 미국 대비 유로존 약세, gdp는 그래도 부합하는 중, 독일 pmi 위축 (단기적 달러 강세)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2279
독일 8월 합성 PMI, 두 달 연속 위축…두 분기 연속 침체 우려(상보) - 연합인포맥스
독일의 8월 기업 활동이 예상보다 더 큰 폭으로 위축되며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22일 S&P 글로벌과 함부르크 상업은행(HCOB)에 따르면 독일의 8월 합성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5로 하락했
news.einfomax.co.kr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4/06/202406191125149292e8b8a793f7_1
피치, 2024년 세계 GDP 성장률 2.6%로 상향…유로존 회복 전망 낙관 - 글로벌이코노믹
세계적인 신용평가사 피치(Fitch)는 유로존 경제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6%에서 0.8%로 상향 조정했다. 피치는 최근 발표한 '글로벌 경제 전망'에서 2024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www.g-enews.com
엔화 -> 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 (달러 약세) 9월 20일에 금리결정함
https://www.news1.kr/world/international-economy/5519379
일본은행 총재 "경제, 물가 예측 일치하면 금리인상 계획 고수"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www.news1.kr
물론 시장 눈치보기도 하고 여러가지 상황 상 쉽게 올리진 못할듯? 깜짝 인상을 했긴 했다만
오늘은 이렇게 오랜만에 줜나 열심히 나름대로 전략을 짜봤는데 매일 매일 이렇게 분석은 당연히 못할 거 같다 귀찮아서 딸깍도 안한 내가...
그래서 내가 생각하기에 앞으로 내가 주목해야 할 일은
1. 경기침체 가능성 (실업수당청구건수의 방향)
2. 대선의 향방
3. 비트코인 고래들의 시그널
4. 환율 전망
결론
1. 테더기준 1290원 ~ 1350원대에 조금씩 매수할 예정
2. 경기침체, 대선, 비트코인 고래들, 환율 전망 등을 계속 트래킹 할 예정
3. 사실 예측은 큰 의미 없고 양방 전략을 세우는게 더 큰 의미가 있음 (매우중요)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침체의 본질을 곁들여본, 우리가 진짜 집중해야 하는 것에 대해 (1) | 2024.08.27 |
---|---|
경기침체에 대한 생각 (1) (0) | 2024.08.26 |
영빈좌의 m2에 대한 좋은 글 (0) | 2024.06.04 |
우리는 어떤 지표를 봐야하는가? 2 (2) | 2024.06.03 |
우리는 어떤 지표를 봐야 하는가? 1 (0) | 2024.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