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우리는 어떤 지표를 봐야하는가? 2

모루우 2024. 6. 3. 14:45
728x90
반응형

1편 바로가기

https://moluuu.tistory.com/8

 

우리는 어떤 지표를 봐야 하는가?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번 년도에 매크로에서 어떤 지표를 보면 좋을지 스스로 정리도 할겸 한번 이에 관해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cpi, pce, 실업수당청구건수 이런건 제외하겠습니다. 1. 달

moluuu.tistory.com

 

안녕하세요. 어제쓰다가 힘들어서 그리고 포스팅 수를 늘리기 위해.. 그만 썼는데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시작

 

2. Net Liquidity (순유동성)

 

실제로 Net Liquidity는 코로나 이후 증시와 높은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Net Liquidity = 시중 은행의 지급준비금 + 유통통화

 

* 지급준비금: 시민의 예금 중에서 일정 비중을 중앙은행에 예금하는 것 법적으로 의무화 되어 있음

* 유통통화: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통화.

 

 

영빈좌에 따르면 유통통화와 자기자본은 거의 상수로 보고 순유동성의 변화는 지급준비금의 변화와 거의 비슷하다고 함.

 

개어렵다 ㅅㅂ

그니까 지급준비금을 기준으로 보면 양적긴축을 시행하면 누군가가 국채를 투자하거나 돈을 인출해 세금을 내야한다. 그러면 지급준비금은 감소할 수 있다. (예금이 줄어드니까, 그리고 이건 뇌피셜인데 긴축을 할 때 보통? 금리도 올리니까 국채 투자 수요가 늘어나니 지급준비금은 감소하지 않을까? 물론 아닐수도 있다..)

이때 역레포도 감소할 수 있어서 지급준비금이 덜 감소하게 될 수 있다. (시장 유동성 흡수에 따른 연준에서 돈 빼가기 + MMF 물량????)

 

감사합니다 원스님

 

https://contents.premium.naver.com/wonseconomy/wonsglobaleconomy/contents/231127132631452pm

 

[기초] 연준 통화정책과 지급준비금, 역레포(RRP), TGA 변동의 이해

연준의 대차대조표 상에서 부채는 크게 지급준비금, 역레포(RRP), 재무부 현금잔고(TGA), 유통화폐, 기타 등으로 구성됩니다(자산은 국채, MBS, 대출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중 유통화폐는 변동성이

contents.premium.naver.com

더 자세한 내용은 원스님 글로..

 

그러니까 지급준비금은 사실상 시장의 유동성이다! 은행이 가용할 수 있는 자금도 많고 결국 누군가의 예금이니까?

 

그러면 지급준비금만 봐도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긴 드는데.. 그래도 유통통화까지 포함하는 순 유동성을 보는 것이 좋나? 잘 모르겠다..

 

그래서 어디서 보는가?

 

https://www.gurufocus.com/economic_indicators/6168/fed-net-liquidity-

 

FED Net Liquidity Charts, Data

FED Net Liquidity as of report date (2024-05-22) is 6077.808. FED Net Liquidity charts, data and related items.

www.gurufocus.com

저는 그냥 여기서 봅니다 그냥 검색하니까 여기가 제일 먼저 뜨더라구요

 

3. M2 (Money Stock, 총통화량)

 

M2: 광의 통화라고 불리며, M1(협의통화)보다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임. 현금, 예금, 적금, 주식, 채권 등의 형태로 표현되는 통화량의 총합을 의하며 경제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

 

http://yellow.kr/financeView.jsp?s=M2

 

경제 - 옐로우의 세계

경제,금융,환율,금리,주식,경제지표

yellow.kr

 

이 지표로 시장의 유동성을 가늠해볼 수 있다. 결국 위험자산이 오를려면 유동성이 풍부해야 하니까..

 

이것도 뇌피셜이지만, net liquidity는 지급준비금 즉 더 직접적인? 영향을 많이 끼치는? 예금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m2는 전체적인 유동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인거 같다. 어쩌면 net liquidity가 더 민감하게 반응할지도 모르겠다.

다 뇌피셜이니까 걸러 들어주세요.

 

보는 곳은

https://fred.stlouisfed.org/series/WM2NS

 

M2

Sourc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US)   Release: H.6 Money Stock Measures   Units:  Billions of Dollars,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Weekly, Ending Monday Notes: Before May 2020, M2 consists of M1 plus (1) savings depos

fred.stlouisfed.org

여기서 보면 된다. wm2ns가 무슨 뜻인지는 모르겠다. 그냥 모두가 이걸 보길래 나도 본다.

참고로

m2sl 과 m2의 차이점은 m2sl은 월 단위로 보고 되고, m2는 주단위로 보고된다. 아마 wm2ns가 m2랑 같은거인듯?

 

Differences Between the M2 Data Series and the M2SL Data Series. As I mentioned above, the M2 data series reported the money base on a weekly basis, whereas the M2SL will report on a monthly basis

- 원문

 

 

 

+ TGA (Treasury General Account, 재무부일반계정) / RPP (Reverse Repurchase Agreement, 역환매조건부채권)

/ 연준자산증감

 

또서 헤이즈

 

*TGA: 미국 재무부가 현금 운용을 위해 FED에 개설해 놓은 계좌. 정부가 정책을 실행하려면 돈이 필요하기에 TGA 계좌에서 돈을 꺼내 사용하고 부족하면 세금을 걷거나 채권을 발행하여 돈을 거둬 들임

* RRP: 역레포라고 부르며 금융회사가 돈이 남아돌아서 돈을 맡기고 FED의 국채를 받는 것

 

아서 헤이즈의 말에 따르면 결국엔 TGA와 RRP의 움직임으로 유동성 공급을 볼 수 있다는 것. 이때 TGA가 줄어든다는 것은 정부가 유동성을 풀고 있다는 의미. 그리고 현재 RPP가 줄어들고 있는데 이 자금들이 어디로 가는지가 중요함. 그게 국채로 이동하면 4000억달러 유동성 공급이 된다는데 그게 무슨 말인지 까지는 모르겠다.

장기채권 없이 지폐만 발행한다? 이건 돈 찍어 낸다는 소리인가? 흠

 

다는 모르겠지만 TGA와 RPP의 움직임이 중요하단 건 맞는듯.

 

https://brunch.co.kr/@heechan-jang/49

 

연준 역레포 자금이 빠지면 증시가 폭락한다고?

역레포 감소는 유동성 감소 = 증시 폭락? | * 채권ETF 투자반 1기 모집- 모집기간: 3월30일까지 안녕하세요, 희찬입니다. 오늘 오전에 기사를 보는데 위와 같은 기사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연준의 역

brunch.co.kr

이 블로그에서 자세히 설명을 해놓았다. 내가 이해한 바로는 연준의 대차대조표에서 부채 부분은 tga, rrp, 지급준비금, 유통통화, 기타로 나뉘어져있는데 위에서 유통통화는 거의 상수라고 했으므로 rrp가 줄어들어도 지급준비금과 tga가 늘어나서 부채만 변동이 발생한다면 변화가 없기에 바로 증시가 폭락하진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근데 사실 역레포 자금이 빠지면 재무부의 단기채를 받아줄 곳이 없고 중장기채를 발행해야 하는데 그러면 지급준비금에서 빠져나갈 수 있으니 실질적으로 유동성이 감소될 수 있다.이러면 결국 시장은 선반영으로 증시가 떨어질 수도 있지 않나 싶다. (단기자금을 운용하는 MMF가 80% 정도 역레포자금을 이용한다 즉 단기채 사는 친구들이 자주 이용)

-> 결국 2번의 지급준비금, Net Liquidity가 중요해진다.

대략 지급준비금은 3조 정도에서 SVB가 파산했으니 TGA 잔고(정부가 도와줌) + 지금준비금 - 3조가 마지노선일지도?

 

알것같기도 하고 에잇 싯팔 왤캐 어려워

 

보는 곳은 쉽다 거의 FRED에서 다 볼 수 있다.

역레포

https://fred.stlouisfed.org/series/RRPONTSYD#

 

Overnight Reverse Repurchase Agreements: Treasury Securities Sold by the Federal Reserve in the Temporary Open Market Operations

Source: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Release: Temporary Open Market Operations   Units:  Billions of US Dollars,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Daily Notes: This series is constructed as the aggregated daily amount value of the RRP transact

fred.stlouisfed.org

 

추가로 역레포 금리

https://fred.stlouisfed.org/series/RRPONTSYAWARD#

 

Overnight Reverse Repurchase Agreements Award Rate: Treasury Securities Sold by the Federal Reserve in the Temporary Open Market

Source: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Release: Temporary Open Market Operations   Units:  Percent,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Daily Notes: The award rate is the rate given to all accepted propositions for the collateral type reported by

fred.stlouisfed.org

 

TGA

https://fred.stlouisfed.org/series/WDTGAL#

 

Liabilities and Capital: Liabilities: Deposits with F.R. Banks, Other Than Reserve Balances: U.S. Treasury, General Account: Wed

Sourc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US)   Release: H.4.1 Factors Affecting Reserve Balances   Units:  Millions of U.S. Dollars,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Weekly, As of Wednesday Notes: This account is the primary operat

fred.stlouisfed.org

 

마지막으로 연준자산증감은 사실 연준의 스탠스를 보기 가장 쉬운 지표이다. 자산 = 부채이고 부채의 일부분인 유동성도 줄어들기 때문에 가볍게 보기는 좋은 지표인듯?

 

https://fred.stlouisfed.org/series/WALCL

 

Assets: Total Assets: Total Assets (Less Eliminations from Consolidation): Wednesday Level

Sourc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US)   Release: H.4.1 Factors Affecting Reserve Balances   Units:  Millions of U.S. Dollars,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Weekly, As of Wednesday Suggested Citation: Board of Governors of

fred.stlouisfed.org

 

 

이것도 좀 정리를 해보자면

 

1. 우리가 봐야할 것은 연준의 행보와 시중의 유동성이다

 

2. 그리고 + 시중의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한 해결책들을 시기 마다 모니터링 해야한다 (이번에는 엔-달러 스왑)

 

3. 그것이 m2, net liquidity, 연준 자산 증감(역레포 자금의 이동, tga 잔고)

 

4. 내 뇌피셜로는 net liquidity 가장 민감한 유동성 지표이고 그다음 m2, rrp는 좀 선행하는 지표? tga 잔고는 재무부의 스탠스, 연준자산증감은 연준의 스탠스 아닐까? 이렇게라도 정리해야지 좀 감이 잡힐 거 같다.

아 코인 존나 어렵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