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식 3

가치와 가격에 대하여

그냥 이리저리 생각을 하다보니까 가격과 가치의 차이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래서 내린 결론은 가격은 가치가 맞다고 결론을 내렸다. 근데 좀 이상한 결론이라고 생각을 했다. 여기저기서 가격과 가치는 다른 거다 본질적인 가치를 봐라 이런 말들을 많이 하지 않은가? 사실 내가 가치와 가격에 대해서 생각을 해본 이유도  고로치님의 글을 보고 한번 생각해본 것도 있다 근데 지금 보니까 사실 고로치님과 나는 같은 얘기를 하는 거 같기도 하다 어찌됐던 내가 왜 가격은 가치라고 결론을 내렸나면 사실 가격이란 결국 현재 시점의 모든 변수를 고려해서 나온 가치를 수치화 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까 이런 사실을 비추어 보면 결국 현재 가격이란 모든 변수를 고려했을 때(사람들의 심리, 관심도, 기술적 가치를 평..

잡담 2024.08.31

맥켈란 오실레이터 이번엔 어떻게 됐을까?

https://moluuu.tistory.com/18 [펌] 맥켈란 오실레이터https://x.com/economakase/status/1800512883870363733 X의 이코노마카세님(@economakase)■ 맥켈란 오실레이터의 신호탄 추세를 보여주는 맥켈란 오실레이터는 희귀한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번에 두번째 나moluuu.tistory.com 저번에 잠깐 언급했던 그렇게 개쩌는 신호라던 맥켈란 오실레이터.. 이후 60일 동안 상승할 확률은 95% 그러나 5% 확률로 100주 이평 위에서 발생했을 경우 짧게 상승 후 큰 하락  지금은 100주 이평 위에서 발동함 과연 지금 60일 정도 지난 시점에서 어떻게 됐을까?  S&P500 기준 4% 상승후 5.3% 정도 하락 함 생각보다 변동성 없..

거시경제 2024.08.29

경기침체의 본질을 곁들여본, 우리가 진짜 집중해야 하는 것에 대해

우리가 경기침체를 무서워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내가 생각하기에 이것의 정답은 사람들이 지갑을 닫기 때문인 거 같다. 즉 이것은 곧 유동성이 줄어든다는 의미. 여기에 사람들의 공포가 하락을 스노우볼링 해주고 이렇게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여기에는 주식으로 치자면 침체로 인한 기업 실적 부진 등등으로 그 기업 자체가 매력도가 떨어지는 것도 포함되겠지만 결국에 본질은 유동성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공포, 내 자산을 더 큰 바보가 사주지 않는다는 공포가 큰듯. 아 생각해보면 광범위하게 더 중요한 건 심리 인거 같다 이 시장에 대한, 이 자산에 대한, 이 종목에 대한 믿음, 기대감 오를거라는 환희 탐욕 욕망, 내릴 때의 공포, 분노, 절망 등등 사실 이유야 다양하겠지만 결국엔..

거시경제 2024.08.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