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print("a \tn \t a ** n")
for a in range(2, 7):
print(a,"\t2 \t",a**2)
2.
for a in range(2, 11):
print(a,"의 제곱근 = ", a**0.5, sep="")
3.
a = 2
print(a, a << 1, a << 2, a << 3, a << 4, a << 5, a << 7, a << 8, a << 9)
4.
while True:
a = int(input("정수를 입력하세요: "))
print("입력된 정수는 0에서 100의 범위 안에 있는 짝수인가요?", 0 <= a <= 100 and a % 2 == 0)
5.
a = bin(5)
b = bin(6)
print(a,"&",b,"=",bin(5 & 6))
print(a,"|",b,"=",bin(5 | 6))
print(a,"^",b,"=",bin(5 ^ 6))
6.
a = int(input("정수 a를 입력하시오: "))
b = int(input("정수 b를 입력하시오: "))
print("a / b의 몫: ", a // b)
print("a % b의 나머지: ", a % b)
7.
integer = int(input("세 자리 정수를 입력하시오 : "))
print("백의 자리 :", integer // 100)
print("십의 자리 :", integer % 100 // 10)
print("일의 자리 :", integer % 100 % 10)
8.
integer = int(input("세 자리 정수를 입력하시오 : "))
print(integer % 10)
print(integer % 100 // 10)
print(integer // 100)
integer = int(input("세 자리 정수를 입력하시오 : "))
a = integer % 10 * 100
b = integer % 100 // 10 * 10
c = integer // 100
print(a + b + c)
9.
speed = float(input("평균 시속(km/h)을 입력하세요: "))
time = float(input("이동 시간(h)을 입력하세요: "))
min = (time - int(time)) * 60
sec = (min - int(min)) * 60
print("평균 시속: ", speed)
print("이동 시간: ", int(time), "시간", int(min), "분", int(sec),"초")
print("이동 거리: ", speed * time, "km")
10.
x1 = int(input("x1 좌표를 입력하시오: "))
y1 = int(input("y1 좌표를 입력하시오: "))
x2 = int(input("x2 좌표를 입력하시오: "))
y2 = int(input("y2 좌표를 입력하시오: "))
print("두 점의 거리:", ((x1 - x2) ** 2 + (y1 - y2) ** 2) ** 0.5)
11.
x1 = int(input("x1 좌표를 입력하시오: "))
y1 = int(input("y1 좌표를 입력하시오: "))
x2 = int(input("x2 좌표를 입력하시오: "))
y2 = int(input("y2 좌표를 입력하시오: "))
print("직각삼각형의 면적 :", ((y1 - y2) ** 2) ** 0.5 * ((x1 - x2) ** 2) ** 0.5 * 0.5)
12.
import math
PI = 3.14
print("모서리의 길이가 13인 정육면체:", 13 ** 3)
print("모서리의 길이가 22인 정육면체:", 22 ** 3)
print("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7, 25, 16인 직육면체:", 17 * 25 * 16)
print("반지름과 높이가 각각 10, 15인 원뿔:", 10 ** 2 * (1/3) * 15 * PI)
print("반지름이 25인 구:", (4/3) * 25 ** 3 * PI)
print("반지름과 높이가 각각 10, 15인 원기둥:", 10 ** 2 * 15 * PI)
import math
print("모서리의 길이가 13인 정육면체:", 13 ** 3)
print("모서리의 길이가 22인 정육면체:", 22 ** 3)
print("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7, 25, 16인 직육면체:", 17 * 25 * 16)
print("반지름과 높이가 각각 10, 15인 원뿔:", 10 ** 2 * (1/3) * 15 * math.pi)
print("반지름이 25인 구:", (4/3) * 25 ** 3 * math.pi)
print("반지름과 높이가 각각 10, 15인 원기둥:", 10 ** 2 * 15 * math.pi)
728x90
반응형
'코딩의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라하며 배우는 파이썬과 데이터과학 5장 심화문제 (0) | 2025.01.09 |
---|---|
따라하며 배우는 파이썬과 데이터과학 - 5.여러 번 반복하는 일을 하자 (0) | 2025.01.06 |
따라하며 배우는 파이썬과 데이터과학 - 3. 연산자로 계산을 해 보자 (1) | 2024.11.29 |
따라하며 배우는 파이썬과 데이터과학 2장 심화문제 (0) | 2024.11.26 |
따라하며 배우는 파이썬과 데이터 과학 - 2. 값을 담아 다루어 보자 (0)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