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tarpower란?
탈중앙 에너지 네트워크를 만들어 web3의 테슬라가 되려는 프로젝트.
이게 뭔소리냐?
한줄로 말하자면 (vpp 같은 에너지 생산 분배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에너지 사용량 같은 것을 수집하는 대가로 $STAR 라는 코인을 주는 프로젝트.. 인것 같다.
"It connects energy devices including air conditioners, water heaters, and energy storage batteries, providing dispatchable energy device resources to empower applications such as virtual power plants (VPP)."
그 배경을 고로치님의 트윗을 바탕으로 나름 정리를 해보자면
1. 우리는 일반적으로 송전탑 등의 중앙발전소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는데 이는 설비 설치 비용 + 버려지는 전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심지어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10% 정도 더 생산 하는데 버려지는게 많다고 함)
2.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스마트 그리드. IT기술을 통해 전력 사용량을 파악하여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임. + 마이크로 그리드라는 지역/동네별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전력 손실과 설비 비용을 아끼는 개념도 나옴.
테슬라의 전기 거래 플랫폼도 마이크로 그리드같은 개념이라고.
(그래서 web3의 테슬라를 빌딩한다는 표현을 쓴건가?)
3. 여기서 ICT(정보통신기술)를 이용하여 각지에 분산된 에너지원을 통합 관리하고 에너지 생산과 분배를 최적화하는 시스템이 VPP(Virtual Power Plant, 가상발전소)인데 이 vpp의 단점 중에 보상 부분이 있는데 일관성이 없고 복잡하고 뭐 그렇단다.
(참고로 vpp는 스마트그리드의 한 부분인 것 같다, 스마트 그리드 가상발전소 차이점 : 지식iN (naver.com))
4. 이런 보상 부분을 블록체인의 depin 모델을 이용하여 해결하려는 것이 starpower 프로젝트.
X의 고로치님(@ryogan86)
1/ 우리는 일반적으로 중앙발전소에서 송전탑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데... 이런 방식은 대규모 송전망을 구축해야 해서 설비도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송전시 버려지는 전기 또한 많아서 효
twitter.com
2. 그래서 VC는?
HashKey group, Fenbushi capital, solana 재단, Iotex, Helium, areweave 등등.. 꽤 빵빵해보인다.
근데 dropstab에서는 둘 다 tier2로 표시되어 있다. 물론 여기는 coinbase ventures, solana ventures, hashed 전부 tier2이긴 함. 그래서 그런지 빵빵한거 같긴 한데 뭔가 좀 아쉬운 느낌이 좀 드는 거 같기도..
참고로 헬륨이랑 알위브는 진짜 빵빵하다. iotex는 hashkey 정도. 아무튼 내로라하는 depin 친구들의 콜을 받고 있다.
3. 설립자
Laser Ding 이라는 사람은 HashKey 회장의 보좌관을 맡은 사람이다. 이 덕분에 해시키의 투자를 받을 수 있었던 거 같다. 이 이외에 정보는 찾지 못했다.
Darcy Jia 라는 사람은 UNSW(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이다. UNSW는 호주의 최상위 명문 공립대학교이다.
HashKey는 홍콩 소재의 VC이고 실제로 CEO도 홍콩 대학을 나온 것 같다. 또한 Fenbushi는 중국 최초의 VC라고 한다.
실제로 starpower 디스코드에 들어가보면 중국인? 중국어를 쓰는 사람이 많던데 뭔가 홍콩, 중국 쪽에서 하이프가 있는지..
중국이 묻으면 잘될지는 모르겠다.
4. 토크노믹스
It($STAR) is used to purchase call services for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 aggregated by the Starpower network.
star 토큰은 총 10억개가 발행되며 분산에너지자원을 불러들이는(?) 서비스에 사용된다. call service가 정확히 뭔지 모르겠다. 내 예상으로는 분산 에너지 자원들을 볼 때 star를 사용해서 볼 수 있다는 뜻 아닐까한다. 후에 거버넌스 역할도 할지도?
2024년 4분기에 메인넷 출시와 $STAR 출시를 기획하고 있다고 한다. 아 근데 이거를 이미 pioneer pass 사용하고 발견했다. 솔직히 4분기면 좀 늦다고 생각한다. 불장은 길어도 3분기에 끝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Builder는 nft holder, device owner, app users를 포함한다고 한다. docs 상으로는 builder에게 70%를 배정했다고 하는데 15%가 어디서 추가되는지 모르겠다.